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반응형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백고등어 개발 블로그

재택근무 시 시간 관리 꿀팁 본문

시간관리 및 생산성

재택근무 시 시간 관리 꿀팁

백고등어 2025. 9. 17. 00:25
728x90
반응형

재택근무는 많은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근무 방식이지만, 시간 관리 면에서는 새로운 도전이에요. 집이라는 편안한 공간에서 업무 집중력을 유지하고, 일과 생활의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워요. 재택근무를 하면서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개발자들의 검증된 노하우들을 정리해봤습니다.

물리적 업무 공간 분리하기

재택근무의 첫 번째 원칙은 업무 공간과 생활 공간을 분리하는 거예요. 침대나 소파에서 일하면 뇌가 휴식 모드와 업무 모드를 구분하지 못해요.

별도의 방이 없어도 괜찮아요. 거실 한 모퉁이라도 "여기는 업무 공간"이라고 정하고, 의자와 책상을 배치하세요. 업무 시간에만 그 자리에 앉고, 업무가 끝나면 그 자리를 떠나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해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 업무용 장비들도 따로 준비하는 것이 좋아요. 개인용 노트북으로 넷플릭스를 보다가 갑자기 업무 모드로 전환하기는 어려워요. 물리적인 환경이 바뀌어야 심리적인 모드 전환도 쉬워져요.

출퇴근 루틴 만들기

사무실 출근이 없어도 "의식적인 출퇴근"은 필요해요. 아침에 일어나서 씻고, 옷을 갈아입고, 커피를 마시면서 하루를 시작하는 루틴을 만드세요.

퇴근할 때도 마찬가지예요. 컴퓨터를 끄고, 업무 공간을 정리하고, 옷을 편한 옷으로 갈아입는 루틴을 통해 "오늘 일은 끝났다"는 신호를 뇌에 보내주세요.

산책도 좋은 출퇴근 루틴이에요. 업무 시작 전 10분, 업무 종료 후 10분씩 집 주변을 걸어보세요. 마치 회사까지 걸어가는 것처럼 뇌를 업무 모드로 전환하고, 다시 휴식 모드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돼요.

시간 블록킹으로 일정 관리

재택근무에서는 시간 관리가 더욱 중요해요. 아무도 감시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 관리가 전부거든요.

캘린더에 모든 업무를 시간 단위로 배치해보세요. "오전 9시-11시 새 기능 개발", "오후 2시-3시 코드 리뷰", "오후 4시-5시 회의" 이런 식으로 말이에요. 애매한 시간대가 생기면 딴생각이나 딴짓하기 쉬워요.

점심시간, 휴식시간도 캘린더에 명시적으로 넣어두세요. 재택근무하면서 점심을 거르거나 쉬지 않고 계속 일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렇게 하면 오후에 집중력이 떨어져요.

회의와 커뮤니케이션 최적화

재택근무에서는 대부분의 소통이 온라인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중요해요.

회의는 가능한 한 짧게 하세요. 사무실에서는 30분 회의가 집에서는 20분이면 충분한 경우가 많아요. 다른 방해 요소가 적어서 집중도가 높거든요.

비동기 커뮤니케이션을 적극 활용하세요. 즉답이 필요하지 않은 질문들은 슬랙이나 이메일로 보내고, 정말 urgent한 것만 전화나 화상회의로 처리하세요.

상태 메시지를 활용해서 현재 상황을 팀원들에게 알려주세요. "집중 시간 - 4시 이후 연락", "회의 중", "점심시간" 같은 메시지로 언제 연락 가능한지 명확히 해주는 것이 좋아요.

가족과의 경계 설정

재택근무의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가 가족들의 방해예요. "집에 있으니까 시간 있지?"라고 생각해서 여러 가지 부탁을 하거나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아요.

가족들에게 업무 시간을 명확히 알려주고, 그 시간에는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방해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하세요. 문에 "업무 중" 표시를 붙여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아이들이 있다면 더욱 어려워요. 아이들은 엄마, 아빠가 집에 있으면 같이 놀고 싶어 하거든요. 가능하다면 아이들의 스케줄과 맞춰서 업무 시간을 조정하거나, 베이비시터나 육아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건강 관리도 시간 관리

재택근무하면 움직임이 현저히 줄어들어요. 사무실에 있을 때는 화장실 가고, 점심 먹으러 가고, 회의실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움직였는데, 집에서는 하루 종일 한 자리에 앉아있게 되죠.

의도적으로 움직임을 만들어야 해요. 1시간마다 5분씩 일어나서 스트레칭하고, 점심시간에는 밖에 나가서 산책하고, 업무 중간중간 물을 마시러 부엌에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눈 건강도 특히 신경써야 해요. 하루 종일 모니터만 보면 눈이 쉽게 피로해져요. 20-20-20 규칙을 활용하세요. 20분마다 20피트(약 6미터) 떨어진 곳을 20초 동안 바라보는 거예요.

외부 활동과 사회적 접촉

재택근무의 단점 중 하나가 사회적 고립감이에요. 하루 종일 집에만 있으면 사람과의 접촉이 줄어들어서 우울감을 느낄 수 있어요.

의도적으로 외부 활동을 만들어보세요. 점심시간에 카페에서 일하거나, 오후에 잠시 도서관에서 업무를 보거나, 퇴근 후에는 운동이나 모임에 참석하는 거예요.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도 도움이 돼요. 개발자 커뮤니티나 스터디 그룹에 참여해서 다른 개발자들과 교류하면 소속감도 느끼고 정보도 얻을 수 있어요.

재택근무만의 장점 활용하기

재택근무의 단점만 얘기했지만, 장점도 많아요. 이런 장점들을 적극 활용하면 사무실보다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어요.

출퇴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서 그 시간을 학습이나 운동, 가족과의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아침에 1시간 일찍 일어나서 개인 프로젝트를 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공부하는 것도 가능해요.

집중하기 좋은 환경을 스스로 만들 수 있어요. 좋아하는 음악을 틀고, 적당한 온도를 맞추고, 편한 의자에 앉아서 일할 수 있어서 창의성과 집중력이 높아질 수 있어요.

식사도 더 건강하게 할 수 있어요. 직접 요리해서 먹거나, 좋은 재료로 준비한 도시락을 먹을 수 있어서 사무실에서 배달음식 먹는 것보다 건강해요.

재택근무는 자기 관리 능력이 핵심이에요. 처음에는 어렵지만, 자신만의 루틴과 원칙을 만들어가면 사무실보다 더 만족스럽고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만들 수 있어요. 완벽한 시스템을 처음부터 만들려고 하지 말고, 하나씩 시도해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가세요.

728x90
반응형